동양 철학사 입문



 [개 요]


본 강좌는 동양철학사 입문강좌이며 16주 연속 강좌로 이루어진다.
먼저 선진시기부터 위진남북조 시기 중국사상의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게 되는데, 선진의 제자백가 중에서는 특히 유가와 도가, 묵가와 법가를 중심으로 사상의 성립과 초기의 발전 과정을 알아본다. 다음으로 경학시대라 할 수 있는 한대 사상사에서는 먼저 금고문 논쟁을 중심으로 살표본 다음, 위진 현학의 문제의식과 대락적인 양상, 주요 인물들에 대해서도 차례로 공부한다. 수 당 시기부터 원대에 이르기까지는 중국 중세 사상사의 역사적 전개와 유가사상의 도약, 그리고 중국 불료의 발전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같은 시기 도교의 양상 등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명 청 시대에서 근대로 이르는 시기, 중국 철학사는 내외적으로 변화의 흐름과 폭이 컸다. 그 양상을 주요 사상사적 과제로 짚어보면, 삼교합일의 흐름, 양명학의 탄생과 전개, 서련 양상, 전통과 근대(현대)의 갈등(서양의 충격과 근대중국 지성의 반응)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자신의 철학적 분투 속에 끌어안고 대명했던 사상가들을 통해 검토하고, 그들의 문제의식, 고민과 모색의 여정을 함꼐 나눈다. 고대에 해당하는 1강에서 5강은 모영환 교수가, 중세에 해당하는 6강에서 10강은 모영환 교수가, 그리고 근대에 해당하는 11강에서 16강은 임종수 교수가 각각 담당한다.

 [내 용]
 
1강) 중국고대에도 철학이 존재했는가?
2강) 천도와 인도 : 선진 제자철학 1 
3강) 언어와 실재 : 선진 제자철학 2
4강) 한대의 우주론 철학
5강) 유무지변과 언의지변 : 위진 현학
6강) 수당~송원까지의 역사적 전개
7강) 수당의 불학-선종의 전개와 발전
8강) 도학의 흥기와 북송대 신유학의 형성
9강) 장재와 이정의 철학
10강) 주희와 성리학
11강) 삼교합일의 흐름과 유교 국교화
12강) 양명학의 탄생과 전개
13강) 서학 수용과 동서철학의 쟁점
14강) 명말청초 사상계의 곤경과 모색
15강) 청대 사상, 학술, 정치의 관련 양상
16강) 전통과 근대(현대)의 갈등 : 서양의 충격과 근대 중국지성의 반응

 [교 재]

* 주교재 : 풍우란, 『간명한 중국철학사』, 서울 : 형설출판사, 2007.
* 부교재 : 『중국철학사』상,하, 서울 : 까치, 1999. 북경대학 철학과연구실, 오상무 외 옮김
          『중국철학사』1~4권, 서울 : 간디서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