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 한문 공부
[대 상]
한문에 관심 있고 필요성을 느끼는 학생 및 일반인
[취 지]
우리나라 말은 한자어로 되어 있는 것이 매우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이 무엇이든 한문을 소홀히 하는 폐해는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현실을 부인하기 어렵다. 한자를 공부하고 동양고전을 공부하는 것은 우리의 정체성과 전통을 살피는 일이다. 따라서 그것은 누군가에게는 선택이 아니라 필연적으로 할 수 밖에 없다. 한문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려는 사람들에게 그것은 선택 되어진 운명인지도 모른다.
[방 법]
사서(대학, 논어, 맹자, 중용)을 중심으로 잘 번역된 번역문과 원전을 같이 놓고 한자도 공부하고 사서의 내용도 공부한다. 특히 한국 성리학의 근원이 된 주자의 주석도 같이 참조하면서 한문 실력을 쌓는다.
[교 재]
사서 중 『중용』을 주 교재로 삼고 나머지도 참고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