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들뢰즈의 흄 - 경험주의와 주체성



 [개 요]

이 강의에서는 들뢰즈의 첫 저작인 『경험주의와 주체성』을 중심으로 흄의 주요 철학 사상과 초기 들뢰즈의 문제의식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들뢰즈에게 있어서 흄은 단순히 물리적 원자론에 기반한 연합론자가 아니며, 자아를 지각들의 다발로 해체시킨 회의론자에 머무르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감응(affection)의 심리학자이자 (실체론적 자아와 다른) 새로운 자연주의적 주체론을 제시한 탈시대적 사상가로서 조명된다. 뿐만 아니라 '초험적 경험주의(empirisme transcendantale)'와 시간의 수동적 종합' 등 들뢰즈의 주요 사상이 형성되는데 있어서도 흄의 사상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토대가 왼다. 이런 점에서 흄은 스피노자, 베르그손, 니체 등과 더불어 이후에 펼쳐질 들뢰즈 사상을 근본적으로 정초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강의에서 우리는 청년 들뢰즈를 매료시킨 흄의 독특한 철학적 관점을 음미하면서 들뢰즈를 통한 '흄 이해하기'와 흄을 통한 '들뢰즈 이해하기'라는 두 가지 목표를 함께 이루고자 한다. 들뢰즈에 의해 재발견된/발명된 '오늘의 흄(hume aujourd'hui)은 아직도 여러 형태의 독단의 잠에 빠져있는 이들에게 (칸트에게 그러했던 것처럼) 작지 않은 울림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내 용]
 
1강) 경험주의란 무엇인가?
2강) 흄의 회의주의와 자연주의
3강) 관계의 외재성과 감응의 심리학
4강) 인간본성의 원리들
5강) 상상력의 힘 : 흄과 칸트의 차이
6강) 정념과 일반규칙, 본능과 제도
7강) 시간의 종합과 주체 : 반복, 응시, 습관
8강) 정리/토론 : 들뢰즈와 '오늘의 흄'

 [참고도서]

데이비드 흄 지음, 이준호 옮김, 『인간본성의 관한 논고』1,2,3 (서광사, 1994)
데이비드 흄 지음, 이태하 옮김,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 (나남, 2008)
질 들뢰즈 지음, 한정헌, 정유경 옮김, 『경험주의와 주체성』 (난장, 2012)
질 들뢰즈 지음, 김상환 옮김,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Gilles Deleuze, L’île déserte autres textes. Textes et entretiens 1953-1974(Les Édition de Minuit,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