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예술] 고목에 핀 꽃 - 중국 근대미학 산책
[개 요]
중국미학이라는 학문 분과의 용어를 사용할 때 종종 동양미학이라는 용어와 혼용되곤 한다. 동양 삼국의 전통 예술의 형식이 비슷할 뿐 만 아니라 그 뿌리가 중국이라는 공간에 있기 때문에 그러하다. 그런데 중국에서 말하는 중국미학이라는 용어에는 얼마간 서양이라는 타자와 맞선다는 의미가 개입되어 있다. 중국미학 가운데서도 특히 근대미학은 서양미학과의 직접 조우를 통해 정립된 것이다. 따라서 정립시기의 중국 근대미학에는 대립과 결합이 공존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중국 근대미학이라고 할 때의 근대는 전통을 넘어선 의미를 포함하면서도 전통과의 공존을 모색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중국 근대미학에서 주의 깊게 볼 수 있는 점은 바로 전통의 재해석을 통한 개념의 정립이다. 전통의 사유를 총결하여 개념화한 것이 근대미학의 시작인 셈이다. 본 강좌에서는 중국 전통의 미학 개념들이 근대미학의 개념으로 정립되는 과정을 탐구하고자 한다. 탐구의 시작은 청대 초기에서부터 시작된다. 청대 초기의 미학을 근대에 포함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전통적 미학 이론의 실체를 살펴봄으로써 근대미학의 개념의 의미를 보다 충실히 탐구할 수 있다고 본다. 역사적 시간 순서에 따라 먼저, 명말청초의 화가인 석도의 화론에서 중국 전통의 회화 미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한 다음, 양계초의 미학사상을 살펴보고, 이어 왕국유의 [인간사화]를 중심으로 '경계'개념의 의미와 중국미학에서의 가치 등을 알아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노신과 채원배의 미학사상을 탐구하고자 한다.
[내 용] 1강) 재현과 모방 : 중국 근대미학의 의미 2강) 형식과 창조 : 석도화론의 전통 회화미학 3강) 취미와 생활 : 양계초의 미학 1 4강) 예술과 과학 : 양계초의 미학 2 5강) 우미와 장미 : 왕국유의 미학 1 6강) 경계와 자연 : 왕국유의 미학 2 7강) 전통과 비판 : 노신의 미학사상 8강) 미육과 실리 : 채원배의 미학사상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