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예술] '낭만'에 대하여
[개 요]
일상에서 뿐만 아니라, 학술적으로도 '낭만'에 대한 개념은 그 빈번한 사용에 비해 여전히 모호하게 사용되는 것이 사실이다. 19세기 초 독일과 프랑스 등의 유럽에서 문학이 철학과 경쟁적인 구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낭만주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 대립은 현대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과연 '낭만'이란 헤겔이 말하듯 "광기어린 주관성의 폭주"일 분인가? 본 강좌는 낭만주의에 대한 문학사·철학사적 의미를 초기 독일 낭남주의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내 용]
1강) 초기 낭만주의의 주요 특징과 문학사적 문맥 2강) 프리드리히 슐레겔에서의 시적 전일성 개념 3강) 고대성과 현대성,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4강) 노발리스와 절대시 5강) 초기 낭만주의의 서정시 6강) '아테노임'의 문학이론 7강) 종교와 해석학, 백과사전 8강) 발터 벤야민과 낭만주의
|
|
|
|